10월21일(화)우리 한옥 알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유정 작성일 25-10-23 16:27 조회 34회 댓글 0건본문
2025년10월21일(화)
1 한옥 종류.
움집. 2.너와집 3.초가집 4.기와집
기단. 기단이 처마보다 크면 안된다.
온돌 : 구들과 굴뚝이 설치된 온돌 한옥집 구조
마루. : 누마루. . 툇마루. 대청마루
햇살 바람 하늘과 맞대어 살수 있게 한
마루는 높은 곳이다.
배흘림 기법. 도랑주 기법.(자연형 기둥)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기둥 모서리 마다. 기솟음
귀솟음 집의 지붕 양쪽 모서리. 멋스럽게 올려줌
덤벙 주추. 주춧돌 모양이 마치 늙은 호박 줄 간
모양.ㅎ
그랭이 기법: 기둥과 주춧돌 사이를 메우는 기법
해충 방제: 소금을 흙과 섞는다.
활주 처마 모서리를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보조 기둥
창살과 햇살에 의미를 지님. 빗살
안허리곡 기법
용마루 곡선 헌수 곡기법
용꼬리 치미라 함(용의 꼬리 모양)
용면화
귀면화. 귀신 얼굴. ㆍ
봉 하늘의 뜻을 가지고 오는 새.
하늘의 뜻을 내려 준다.
논산 쌍계사 닷집 봉 3마리
하늘의뜻을 가져오는 봉황새
곤용포 임금이 입는 옷.
삼태극 태극 무늬 천지인.
남평문씨 세거지 담장을 넘는 능소화가 한껏
멋과 정취를 더한 아름다운 모습이다.
도동서원 옷골
임고서원
검이불루. 화이불치
검소하나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나 수치스럽지 않다.
뜻 풀이
검이불루 화이불치(儉而不陋 華而不侈)는
"검소하되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되 사치스럽지 않다"
는 의미의 한자성어로, 백제와 조선의 미학을 상징함.
『삼국사기』 백제본기와 『조선경국전』에 등장
하며, 궁궐 건축의 균형 잡힌 아름다움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만
나의 삶의 방식도 그러했음 싶은, 생각이 드네요
헝가리 부다 페스트. 유네스코 등재
우리 화2팀 황춘하 총무님이 우리 역사는 물론
한옥에 대한 견문과 지식과 실력이 그렇게 뛰어
난줄 자랑스럽고 뿌듯했답니다.
정말 대단 했지요?ㅎ
1 한옥 종류.
움집. 2.너와집 3.초가집 4.기와집
기단. 기단이 처마보다 크면 안된다.
온돌 : 구들과 굴뚝이 설치된 온돌 한옥집 구조
마루. : 누마루. . 툇마루. 대청마루
햇살 바람 하늘과 맞대어 살수 있게 한
마루는 높은 곳이다.
배흘림 기법. 도랑주 기법.(자연형 기둥)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기둥 모서리 마다. 기솟음
귀솟음 집의 지붕 양쪽 모서리. 멋스럽게 올려줌
덤벙 주추. 주춧돌 모양이 마치 늙은 호박 줄 간
모양.ㅎ
그랭이 기법: 기둥과 주춧돌 사이를 메우는 기법
해충 방제: 소금을 흙과 섞는다.
활주 처마 모서리를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보조 기둥
창살과 햇살에 의미를 지님. 빗살
안허리곡 기법
용마루 곡선 헌수 곡기법
용꼬리 치미라 함(용의 꼬리 모양)
용면화
귀면화. 귀신 얼굴. ㆍ
봉 하늘의 뜻을 가지고 오는 새.
하늘의 뜻을 내려 준다.
논산 쌍계사 닷집 봉 3마리
하늘의뜻을 가져오는 봉황새
곤용포 임금이 입는 옷.
삼태극 태극 무늬 천지인.
남평문씨 세거지 담장을 넘는 능소화가 한껏
멋과 정취를 더한 아름다운 모습이다.
도동서원 옷골
임고서원
검이불루. 화이불치
검소하나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나 수치스럽지 않다.
뜻 풀이
검이불루 화이불치(儉而不陋 華而不侈)는
"검소하되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되 사치스럽지 않다"
는 의미의 한자성어로, 백제와 조선의 미학을 상징함.
『삼국사기』 백제본기와 『조선경국전』에 등장
하며, 궁궐 건축의 균형 잡힌 아름다움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만
나의 삶의 방식도 그러했음 싶은, 생각이 드네요
헝가리 부다 페스트. 유네스코 등재
우리 화2팀 황춘하 총무님이 우리 역사는 물론
한옥에 대한 견문과 지식과 실력이 그렇게 뛰어
난줄 자랑스럽고 뿌듯했답니다.
정말 대단 했지요?ㅎ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