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

10월 마지막 강좌(서상수 상임 고문님) > 교양 강좌

본문 바로가기

활동상황

“대구의 문화재는 우리손으로 지킨다”는 목표로 발족된 비영리 사단법인 단체

교양 강좌

10월 마지막 강좌(서상수 상임 고문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유정 작성일 25-10-29 23:36 조회 28회 댓글 0건

본문

서상수 문지회 상임 고문님 강의 자료
일시:  2025.10.29(수)14:00시~
장소 : 문지회 사무실.  담당:(수1팀)
문화재 :  조선시대 건물 품계와 현판 명칭
1.)전(殿): 왕실. 사찰. 향교.
2.)당(堂): 왕실. 자선당. 화당. 조사당. 향교.
3.)합(閤): 왕실:  곤령합. 민비 시해 장소(침전) 4.)각(閣).전이나 당의 부속건물(규장각.징청각)
고건축 현판 명칭: 재.헌. 누.정
재(齋)왕실 가족 주거 공간(낙선재)
헌(軒)공무적기능 용도.(동헌)
누(樓)경복궁(경회루)창덕궁(규장각)주합루.
누각:  중층(2층):  경회루 .관풍루.
정(亭)누(樓)와 목적이 같은 단층 건물.(향원정)
    향원정은 가장 모범적인것.
    정자는 누정과 다르다.
정자는 규모가 작고 단층 선비들의 사적 공간임.
예:  예천의 초간정. 달성 화목정. 구미 채미정.
      (야은. 길제)
마을 정자. 농촌 휴게소 정자는 누정과 다르다.
      ※누각과 정자의 용도와 기능
누각:  (광한루. 촉서루.)
문루기능:  관풍루. 만대루. 수월루.
경관 감상 기능:  (영남루. 죽서루)
<정자>
경관 휴식 공간(원림.명승. 계곡.강. 호수.해안)
풍류 친교 공간(담양.식영정)
학문 교육 공간(창경궁 함인정.안동 백운정)
종중. 마을 회의 공간(괴산 모산정.나주 쌍계정)
        ☆현판(편액의 가치)☆
*누정 편액(현판)당대 저명한 학자나 명필 글씨.
영주 소수서원 경령정: (퇴계 이황. 해서체)
동해 해암정: (우암. 송시열)노론의 대부.동양의. 
                    공자라 했던 송시열 편액.
안동 백운정: 미수 허목(1595-1682)의 전서체.
      미수 허목:  조선 후기 문신, 유학자, 역사가,
      교육자, 정치인, 화가, 작가, 서예가, 사상가.
이산해.한강 정구.정언옹 장현광의 문인이다 이수 허목은 이원익의 손녀 사위로 조선 왕조때 과거 급제 하지 않고 정승이 된 몇안되는 인물임.
안동:  부나원 루.(석봉. 한호)
창덕궁 주합루:  (정조의 어필이다)

■궁궐의 누정■
경복궁 경회루(국보)-태조 이성계(1395년)지음.
1800년代 대원군이 다시 지음.(비원: 2궁이다)
경복궁 향원정(보물)-향원지섬.고종과 민비 산책.
창덕궁 주합루(보물)-규장각(숙종 어필)
                                2층 주합루:  (정조 어필).
창덕궁 부용정(보물)-부용지(池)누정의 꽃
관아의 누정:  고성의 청간정은 관동 8경에 하나. 
현판: 이승만 친필. 최규하 시판. 단원 김홍도 
        그림. (고성 청간정. 낙산사. 경포대.)
        남어지 2개는 북한에 있다.

남원 광한루(보물)4대 누각중 하나.
1418년 명재상(황희가 건립)1635년 재건 내부 시문 200.여수.
삼척 죽서루(국보)-5대 누각중 하나다. 광한루 원은 명승.
1.밀양:  영남루. 2.삼척 죽서루. 3.평양. 부평루.
서원의 누정 :  도동 수월루- 물에 비친 달이란 뜻
병산서원 :  만대루는 누각 건축의 백미로 꼽는다.
          뜻:  푸른 절벽은 오후 늦게 대할 만 하다.
사찰의 누정:  부석사 안양루 현판.
목은 이색 기문.이름 짓고. 포은 정몽주. 시판.등
시인 묵객 시(詩): 200 여점.

사대부의 누정
예천:  초간정:  권문해의 초당 1870년 건립.
안동:  백운정(명승):  흰구름이 머무는 정자.
학봉.김성일.미수 허목 편액.귀봉학봉 형제 십판.
함양 거연정:  좌 안도. 우 함양. 남명 조식이 즐겨
      찾던 화림동 계곡. 송병선의 시판
전국 3대 누각 :  밀양 영남루(국보).1365년 밀양 군수 김주 건립.밀양 부사 이인제가1844년 침류각과 능파각을 붙여 지어 국보 경회루와 
버금가는 웅장한 모습임. 목은 이색과 삼우당
문익점. 하륜. 김종직. 이황 등. 많은 시판이 있다.
진주 축석루:  (사적:  경남 유형 문화유산).
논개사당. 의암(진주성 대첩)
평양 부병루:  (북한 국보17호.)
대동강변 모란봉 절벽에 위치. 강물에 떠있는 정자. 393년 고구려시대 영명루 창건. 임진왜란 때 소실됨.1614년 중건. 현판은 눌인 조광진 글씨. 목은 이색. 김시습.김정희 등 많은 문인들 의 시판(詩版)이 있음.
      ※대구의 누 정※
달성 토성. (관풍루: 대구시 문화재 자료3호)
경상감영 정문(포정문 루)관아 누각 2층.현판
서동균의 글씨.1601년 건립.1917년 달성 토성
으로 이전. 1973년 복원.
대구 아양루 :  금호강 절벽위 :  1945년 대구유림(아양 음사)건립 1956년 중건 풍류 즐김 장소.로 1984년 담수회 이관 2003년 대구시에 기부 받아 보수 관리 현재 대구 문화
유산이 돌봄 등록.

달성 화목정:  (보물)인조(화목단)편액 내림.
1604년 낙조 이종문(의병장. 군위 현감)이 건립
인조 능량군 시절 유숙.(화목정 편액과. 은200냥
하사)서까래 위 부연 설치(민가는 불가) 한음
이덕형 시판등 개시.

태고정(보물)달성 태고정.1479년 박팽년 손자.
박일산이 육신사 내 건립. 1614년 중건.
현판은 한석봉이 쓰고 "일시루"는 안평대군 글씨
금호강 연안 누정 - 압로정. 환성정. 하목정.
세심정. 미복원. 당시 한강 정구 등 시인 묵객들이 강학과 뱃놀이등 으로 풍류를 즐겼던 누정 2개는
복원 하지 못한 아쉬움이 남는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사)대구문화재지킴이회(문지회) 주소 : 대구시 중구 2.28길6(3층)
대표전화 : 053-256-7150 팩스번호 : 053-214-7150 E-mail : [email protected]
Copyright © (사)대구문화재지킴이회(문지회). All rights reserved.